- ‘분산형 자원 활성화 위한 선행 과제’ 질문… 업계 전문성 대체로 ‘신뢰’
[인더스트리뉴스 최용구 기자] 정부는 오는 9월 분산에너지활성화기본계획 발표를 통해 전력시장 및 계통의 분산화를 구체화할 전망이다. 이 과정에선 전력시장에 대한 높은 전문성과 이해도가 강하게 요구된다. 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업계와 소비자들의 시선은 어떨까. 인더스트리뉴스와 솔라투데이가 실시한 설문에서 10명 중 4명의 응답자는 국내 수준이 “타국가보다 높다”고 답했다.
‘타국가 대비 국내 수준을 평가한다면’이란 질문에 가장 많은 44%가 ‘높다’를 택했다. ‘보통’이라는 답변은 28%로 뒤를 이었다. ‘낮다’와 ‘매우 높다’는 각각 16%, 10%로 집계됐으며 ‘매우 낮다’는 의견은 1% 였다.
설문 응답 결과 [자료=인더스트리뉴스] |
전력의 분산화가 필요한 가장 큰 이유로는 ‘재생에너지 보급’이 우선 거론됐다. ‘재생에너지 보급 확대(50%)’라고 답한 비중은 ‘계통 유연화(34%)’, ‘전력 수요 조절(12%)’, ‘전기요금 개편(4%)’을 꼽은 응답자수보다 많았다.
설문 참여자들은 ‘재생에너지 경제성 확보’를 강조했다. ‘분산형 자원 활성화를 위해 선행될 과제’를 묻는 질문에 50%가 ‘재생에너지 경제성 확보’를 택했다.
이어 △수요·공급을 반영한 전력가격 매커니즘(30%) △전력 커테일(curtail)에 대한 사회적 합의(14%) △에너지 ICT 기술 보완(2%) △전력제어 설비 보강(2%) 등 순으로 답했다.
설문에선 출력 제한에 관한 의견도 제시됐다. 응답자들 상당수는 재생에너지 출력 제한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했다. ‘재생에너지 출력 제한이 불가피하느냐’는 물음에 60%가 ‘아니다’라는 반응을 보였다. ‘그렇다’는 2%, ‘모르겠다’는 8%로 조사됐다.
설문 응답 결과 [자료=인더스트리뉴스] |
VPP 시장 진입에 있어선 ‘에너지 ICT 시스템’이 중요하단 목소리가 컸다. 응답자의 절반 이상(54%)은 진입에 앞서 우선 점검이 필요한 항목으로 ‘에너지 ICT 시스템 정립’을 꼽았다. 20%는 ‘발전설비 매입 및 관리 자금 확보’를, 14%는 ‘데이터 보완 체계’를 택했다. ‘발전기 전용선 구축’을 택한 응답자는 12%로 가장 적었다.
이번 설문은 지난 2월 6일부터 16일까지 온라인 응답 방식으로 진행됐다. 인더스트리뉴스는 ‘에너지 공존’과 ‘시장 구조 및 제도’에 관해서도 질의했다.
‘전력요금 정상화’·‘소통 채널 확보’ 강조
응답자들은 에너지 공존의 대안으로 △RE100 이행 △정부지원 강화 △ESS 확대 보급 △수소에너지 확대 △공직자의 산업 이해도 증진 △재생에너지 정책의 일관성 △사회적 호응 △송전망 보강 △전력 수요예측 설비 확보 등을 거론했다.
한 응답자는 “다양한 에너지들 간 경쟁, 자립이 가능토록 하는 열린 제도 보완이 필요하다”고 적었다. 또 다른 응답자는 “획일적인 가격, 설비, 용량은 재생에너지 생산과 운송 등 비용에서 괴리를 유발하고 있다”고 지적했다.
설문 응답 결과 [자료=인더스트리뉴스] |
전력시장 구조 및 제도 개선에 있어선 △전력계통 연계 용량 확대 △태양광 등 재생에너지 정부 지원 강화 △SMP 가격 현실화 △시장진입 규제 개선 △정책의 일관성 △ESS 지원방안 도입 △용어 정리 필요 △전력요금 현실화 등 의견을 기술했다.
한 참여자는 “전력요금이 정상화돼야 설비 투자가 이뤄지고 이에 따라 분산에너지가 활성화될 것”이라고 말했다.
다른 한 참여자는 “재생에너지의 출력 제한을 추구할 것이 아니라 생산된 전기의 효율적 분배 방안과 과생산된 전기의 저장 방법을 강구할 때”라고 당부했다.
또 다른 한명은 “재생에너지 공급자와 전력계통 및 전력공급자 간 소통 채널을 개발해야 한다”고 주문했다.
최용구 기자 news@industrynews.co.kr